평가항목 4개(1~5점) 각 항목 5점 최대 2팀
1. 창의성
- 프로젝트 결과에 아이디어, 기술등의 면에서 창의성이 얼마나 발현되었는가?
2. 실용성
- 프로젝트 결과물은 유용하며 실제 제품화 가능한가?
3. 사용성
- 구현된 기능이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하며, UI/UX 등의 사용성이 우수한가?
4, 산출물
- 발표 내용은 프로젝트의 구조와 핵심기능을 파악하기에 충분한가?
아이들을 위한 경제교육 서비스
비고 작성하세요
창의성
- 기획 배경과 산출물이 차이가 너무 나는듯..
- 이미 존재하는 서비스를 개발하는데, 벤치마킹한 흔적이 아예 없음
- 부모의 도움이 거의 없이 할 수 있는 것 처럼 말했지만, 부모가 경제의 대한 개념이 부족하다면 사용 불가
- 엄마 몸무게를 맞추는 것과 투자와 같은 경제 관념을 배우는 게 무슨 연관이 있는지?
실용성
- 제품화는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좋아보이진 않는다.
- 제품 경쟁력이 없어보임. 부모님도 귀찮고 아이도 불편한 과정이 너무 많음
- 넹 나름 재밌어보이긴 하는데 프로세스가 불편함… 귀찮아 죽음
- 드디어 BM이 있는 서비스가 나왔네요
- 아니네요 BM이 개판이네요
- 만드신분들이 경제개념이 없네요
사용성
- UI/UX가 너무 눈에 안들어옴
- 숫자 입력이 많지만 입력방식에 대한 통합적인 부분이 안보이는게 아니라 그냥 클립보드구나…
- 개같이 일해서 도토리 모앗는데 퀴즈 못맞추면 돈 못받아요>???
- 아이들을 위한 서비스인데 불구하고 언어 수준이 너무 높음
- 학습 플랫폼인데 경제 용어 설명이 없는게 좀 치명적인듯
- 질문 할거야?
- 가야지
- 부모의 부담을 줄여주는게 아니라 물음표를 눌러주는데
산출물
- 경제관념없어서 코인투자 많이한다 ⇒ 어릴때 투자 가르친다? 사실상 현대사회에서 코인은 투자보단 걍 사행성게임아닌가요 어릴때 저거 해도 코인은 할거같네요
- 경제 관념을 공부하는 부분이 사실상 환전 시 퀴즈 맞히기밖에 없는데1